chatGPT로 기획 관련해서 뭘 할 수 있을까.. 고민중이긴 한데
요즘 생성형 AI인지 대화형 AI인지 관련된 프로젝트를 진행하느라고 공부하면서 이것 저것 시도하고 있는데, 네이버에서 CUE; 라는 AI 검색이 등장한 김에 간단한 실험을 해보았다.
다음의 질문을 각각의 AI 모델에게 요청하면 어떻게 대답할까?
퀴즈 푸는 사람의 입장에서 '나'가 누구인지 답변을 해줘.
나는 지구에 있는 검은색 생물이야. 주로 바다 속에서 살지만, 꼭 물 위로 올라와야 하는 경우가 있어 종종 인간에게 목격되곤 해. 난 덩치가 커서 사람들이 무서워하기도 하지만, 매체에서는 긍정적으로 묘사되는 덕분에 인간들이 좋아해
chatGPT
가장 답변이 짧고, 명료하다.
ClovaX
Clova X에서 역할 설정은 처음해봤는데, 역할 설정에 대한 설명이 나와서 신기했다. 답변은 chatGPT만큼이나 짧고 명료했다.
Bing Chat
chatGPT와 동일한 OpenAI 언어 모델을 기반이지만 버전 차이가 있는 Bing Chat은 GPT-4 엔진을 탑재하였다. 다만 이 경우엔 chatGPT와 거의 동일한 답변이 나온다.
Bard
답변과 답변에 대한 근거가 서술되는데, 유일하게 다른 퀴즈의 답을 몇가지 던져주었다.
네이버의 Cue:
Cue는 bard와 같이 대화형 AI인 것 같다(아직 탐색중)
답변에 대한 참고 정보를 제공하는데, 재밌는 건 사용자가 입력한 질문에 대해서 네이버에서 검색 실행했던? 하면 좋은? 키워드를 알 수 있다.
내가 한 질의에 대해서는 query가 '바다 생물 종류'인 것을 볼 수 있다. 질의 내용에서 keyword를 취하는 것처럼 보인다.
또 하나 흥미로운 건, ClovaX와 Cue의 답변 내용이 다르다는 점이다.
ClovaX | Cue: |
나는 고래입니다. 퀴즈를 출제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나'를 인공지능 언어모델인 CLOVA X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퀴즈를 푸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나'를 자신으로 설정하여 문제를 풀게 됩니다. 따라서 이 퀴즈에서는 '나'를 고래로 가정하고 답변을 드렸습니다. 고래는 지구에 있는 검은색 생물로, 바다 속에서 주로 살지만 물 위로 올라와야 하는 경우가 있어 인간에게 목격되기도 합니다. 덩치가 크기 때문에 사람들이 무서워하기도 하지만, 매체에서는 긍정적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아 인간들이 좋아하는 동물 중 하나입니다. |
사용자님께서 말씀하신 내용으로 보아 해당 퀴즈의 정담은 "고래"인 것 같습니다. 고래는 지구상에서 가장 큰 포유류 중 하나로, 대부분 바다에서 생활하지만 호흡을 위해 주기적으로 수면 위로 올라옵니다. 인간들은 고래의 웅장함과 아름다움에 매료되어 예술 작품이나 문학 작품에서 자주 다루기도 합니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고래 사냥이 이루어져 논란이 되기도 합니다. 이처럼 고래는 우리 인류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보호와 공존을 위해 노력해야 할 동물 중 하나입니다. |
보면 ClovaX는 질의에 대한 답변만 간단하게 나온다면, Cue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묘사한 내용에 대한 근거들이 나오고 부가적으로 주제와 관련된 논란/시사점 등이 노출된다.
다음엔 뭘 물어보면 좋을까
'기획 N년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하는 검색을 빠르게 실행하는 브라우저 설정: 검색엔진 단축어로 chatGPT, 사전, 지도 빠르게 실행하기 (1) | 2025.02.03 |
---|---|
[설계를 해보자] CI와 DI (4) | 2023.07.19 |
PPT 편하게 사용하는 숨은 꿀팁 (2) | 2023.05.04 |
링크와 버튼의 구분: 링크냐 버튼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0) | 2023.04.18 |
들어는 봤니? CTA: Call to action(feat. chatGPT) (0) | 2023.04.14 |
[설계를 해보자] 초보 기획자가 설계서 작성할 때 고려해야 할 5가지 (0) | 2023.04.05 |
[설계를 해보자] 02. 회원 마인드맵 (0) | 2023.03.28 |
기획자는 이런 것까지 알아야 하나요? - 블랙리스트/화이트리스트 (0) | 2023.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