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사용 목적
UTM 파라미터는
Urchin Tracking Module Parameter로
웹 분석 툴에서 트래픽 소스를 분석하기 위해
쿼리 스트링 내에 사용하는 공통 파라미터다.
차치하고, 나는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웹사이트에 유입된 트래픽의 출처를 추적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공통코드라고 이해했다.
내가 분석하고자하는 웹사이트에 방문자들이 어떻게 들어왔는지 알고 싶다면,
그 웹사이트가 노출되는 모든 URL에 UTM 파라미터가 활용되면 된다.
물론 고객들이 URL을 복사해서 친구한테 카톡으로 보내버리는 등의 모든 변수를 통제할 수는 없지만, 내가 통제할 수 있는 모든 URL에 붙일 수록 모르는 것보단 알아낼 확률이 올라간다. 만약 내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의 방문 유형 중 Direct/none이 무지막지하게 높다면, UTM 파라미터를 이용해 조금은 낮출 수 있다.
너무 거창하게 들릴 수 있겠지만, 5%라도 알아낼 수 있다면 사실 운영자, 기획자, 마케터에겐 긍정적인 내용이라 사실 매달릴 수밖에 없다.
특히나,
배너 광고를 게시했는데, 그 배너를 통해서 들어온 사람이 몇명이나 되는지를 파악할 수 없다면 광고를 집행할 필요도 없다. 성과분석은 당연히 수행되어야 하는 거니까
사실 요즘은 마케터 중에 UTM 모르는 사람이 정말 거의 없지만,
쿼리스트링 작성 방법
왜 갑자기 쿼리스트링이냐면, 이건 공통사항이니까.. 쿼리스트링으로 올려 봄
쿼리스트링을 작성할 때는 항상 아래 구조로 작성해야 한다. 아니면 에러 발생하니 조심!
기존 URL + '?' + '파라미터' + '=' + '값' + '&'+ '파라미터' + '=' + '값'
?
기존 URL과 쿼리 스트링의 연결
=
파라미터와 값의 연결
&
복수의 파라미터 연결
이렇게 이해하면된다.
여기서 에러가 나지 않는 경우는 파라미터에 인자가 없는 경우이다.
https://search.daum.net/search?w=tot&DA=JU5&q=티스토리&type=
https://search.daum.net/search?w=tot&type=&DA=JU5&q=티스토리
인자가 없는 상태로 종료가 되거나, 그 상태로 다른 파라미터가 연결되는(&이 따라오는) 경우에는 에러가 나지 않는다.
해당하는 값이 없을 뿐
에러 케이스는 더 밑에 적어보고 다음으로 넘어간다.
쿼리스트링 작성 시 유의사항
1. 공백, 특수문자 절대 금지
어떤 페이지 URL에도 공백은 없다. 있더라도 그건 %20이라는 The ASCII Character Set 이상한 아이로 치환된건데, 데이터 가공시 어려움이 있으니 가급적 사용하지 말자.
2. 영어 대소문자 구분
구글 애널리틱스를 포함한 마케팅 툴들은 대소문자 구분을 명확하게 하고 있다.
KAKAO / kakao / Kakao 이렇게 다 다르게 써버리면 전처리 작업을 한 번 더 해야 하니, 처음부터 잘, 통일해서 쓰도록 하자.
3. 내부 페이지간 이동에 사용 금지 / 외부 링크에만 사용하자
애초에 외부 트래픽의 출처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사이트 내부의 버튼이나 배너를 트래킹 하고 싶은 경우에는 GTM을 활용하도록 하자. 네이버 배너 광고에 사용된 UTM 파라미터를 이용해서 들어온 방문자가 사이트 내부 배너에 사용된 UTM 파라미터를 실행하는 경우, 네이버 배너 UTM 파라미터를 잃어버릴 수 있다. 힘들게 작성한 UTM을 잃어버리지는 말자
4. 한글 사용 주의
한글 사용할 때, 브라우저 그리고 GA 간에 인코딩 에러가 날 수 있기 때문에 한글은 가급적 사용하지 않거나 아래에 있는 Campaign URL Builder를 사용하자
UTM을 위한 이야기들...
UTM은 다음 시간에..
'데이터분석 | 스터디 > GA, GTM, G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Looker studio: 헬로 루커 스튜디오 (0) | 2023.10.17 |
---|---|
데이터 스튜디오 | 내부 검색 키워드만 가져오기 - URL에 키워드가 있는 경우 (0) | 2021.06.14 |
GA, GTM | UTM 파라미터 - 2 (0) | 2021.05.14 |
GA, GTM, GDS | URL 파라미터, 쿼리스트링 이해하기 (0) | 2021.05.12 |
구글 애널리틱스, 태그 관리자, 데이터 스튜디오 | 글쓰기 (0) | 2021.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