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미터(parameter)란?
매개변수를 말하는데, 처음 들었을 땐 매개변수가 또 뭔가 하고 검색했다.
쉽게 말하면 X다.
x + y = 5, y가 3일 때 x 값은?
응, 이 x
실제 x의 값인 2는 인수 또는 인자(argument)라고 한다.
용어는 별로 안중요하다.
사실 이 내용을 검색하는 사람은 URL 파라미터의 개념을 알고 들어올테니까.
URL 파라미터는 말 그대로 URL에 있는 파라미터인데,
그 전에 구글에서 '티스토리'를 검색해보자.

그러면 주소창에 아래와 같이 적힌다.
https://www.google.com/search?q=티스토리&aqs=chrome.0.69i59.1186j0j7&sourceid=chrome&ie=UTF-8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도메인에 '?' 이후에 생성되는 문자열은 쿼리스트링이라고 한다.
현재 페이지에 있는 정보를 읽어서 URL에 표시해주는데, [파라미터]=[인자] 형식으로 표기해주는 방법이다.
https://www.google.com/search?q=티스토리&aqs=chrome.0.69i59.1186j0j7&sourceid=chrome&ie=UTF-8
파라미터는 빨간색, 인자(값)는 초록색으로 표기된 부분이다.
구글은 검색어를 q라는 파라미터를 이용해 가져오고 있으며, aqs에서는 현재 사용하는 브라우저와 버전을 가져오고 있는 듯하다.
[다음에서 티스토리 검색한 결과]
https://search.daum.net/search?w=tot&DA=JU5&q=티스토리
[네이버에서 티스토리 검색한 결과]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ie=UTF-8&query=티스토리&sm=chr_hty
쿼리스트링의 작성 규칙은 동일하지만, 쿼리스트링에 어떤 정보를 담을지, 어떤 파라미터로 값을 가져올지는 웹페이지마다 다르다.
쿼리스트링과 파라미터를 이해하면,
GA와 GTM, GDS에서 정말정말 무궁무진하게 활용할 수 있다.
왜나면 ? 뒤의 값은 사용자에게 어떠한 영향도없이 동일한 페이지를 보여주는데(개발에 적용된 값이 없다면), 구글 애널리틱스에서는 다른 트래픽으로 분류될 수 있기 때문이다.
https://jeeeeehnmin.tistory.com/
https://jeeeeehnmin.tistory.com/?utm_source=newsletter
첫번째의 경우는 GA에서 Direct/none에 해당하고
두번째 URL은 Referrer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다음엔 이 쿼리스트링/파라미터를 활용하는 방법을 적어보겠다.
'데이터분석 | 스터디 > GA, GTM, G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Looker studio: 헬로 루커 스튜디오 (0) | 2023.10.17 |
---|---|
데이터 스튜디오 | 내부 검색 키워드만 가져오기 - URL에 키워드가 있는 경우 (0) | 2021.06.14 |
GA, GTM | UTM 파라미터 - 2 (0) | 2021.05.14 |
GA, GTM | UTM 파라미터 - 1. 쿼리스트링 (0) | 2021.05.13 |
구글 애널리틱스, 태그 관리자, 데이터 스튜디오 | 글쓰기 (0) | 2021.05.11 |